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사진)이 `미국 경제가 재정절벽 아래로 떨어지면 치유 수단이 없다`며 정치권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동시에 정치권이 재정절벽 합의안을 내놓는다면 내년 미국 경제가 아주 좋은 상황을 맞이할 것이라고 강조해 정치권의 리더십을 주문했다.
버냉키 의장은 20일 뉴욕 이코노믹클럽 강연을 통해 "미국 경제 회복이 실망스러울 정도로 느린 상태에서 재정절벽이 현실이 되면 미국 경제 회복에 엄청난 위협이 될 것"이라며 "재정절벽 쇼크로 미국 경제가 리세션에 빠지면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연준이 활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이 없다"고 실토했다.
의회가 신속하게 재정 이슈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미국 경제가 속절없이 최악의 리세션 국면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경고한 셈이다.
그러면서도 버냉키 의장은 정치권에 대한 기대감을 버리지 않았다. 버냉키 의장은 "의회가 재정절벽을 타개할 수 있는 창의적인 합의를 이끌어 낸다면 내년 미국 경제는 매우 좋은 한 해(very good year)를 맞이할 것"이라며 정치권의 발 빠른 대응을 촉구했다.
모건스탠리도 20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정부와 중앙은행 정책 선택에 따라 경제 흐름이 좌우되는 상황"이라며 "재정절벽이 해소되지 않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나타나면 미국 경제가 내년 3분기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심각한 리세션(major recession)에 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재정절벽을 피한다면 미국 경제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재정절벽이 해소되더라도 미국 경제가 리세션을 피할 수 없다는 분석도 많다.
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교수는 19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이 재정절벽 합의안을 내놓더라도 내년 경제는 1%포인트 정도 하락할 것"이라는 비관론을 개진했다.
루비니 교수는 "지난 7월부터 글로벌 증시 랠리가 지속되고 있지만 주가수익비율(PER)은 높아지고 주당순이익(EPS)은 쪼그라드는 상황"이라며 "불확실성, 변동성 확대, 테일리스크가 커지면서 증시가 급격한 조정을 받을 것"으로 진단했다.
마틴 펠드스타인 하버드대 교수도 재정절벽이 해소되면 미국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버냉키 의장 전망은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21일 블룸버그TV와 인터뷰하면서 "급여소득세 감세(payroll tax cuts) 조치가 만료되면서 내년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1%포인트 줄고 부자증세와 정부지출 삭감으로 또 2%포인트 이상 GDP가 쪼그라들 것"이라며 "재정절벽 아래로 떨어지지 않더라도 미국 경제는 또 한 번의 리세션에 가깝게 다가선 상태"라고 주장했다.
(My Opinion!!!)
At the end of the year, the Bush tax cuts expire. So does the payroll-tax holiday. Automatic spending cuts begin to bite. These preplanned events are known together as the “fiscal cliff.”
Then what on earth is the 'fiscal cliff?' It is a phenomenon when abrupt cut in government expenditure occurs, which burdens the middle class; it leads to an economic recession. According to economic specialists, if Bush taxs no longer become valid, as aforementiond, depression is inevitable. Currently, fiscal debt of the States exceeds 100% of their GDPs. To make things worse, CRAa(Credit Rating Agencies) contend to lower the credit of the States if the Obama Government fails to propose 'fiscal austerity.'
People would raise a question. If impact of this so-called fiscal cliff is too severe, why not extend the Bush taxes? If not, then make a compromise to build a contermeasure to withstand the economic recession that follows the fiscal cliff?
The situation is not that simple. It is actually a matter of politics; not economy. Traditionally, Democrats have long countenanced to extand tax rate to support the middle and lower class. On the other hand, Republicans asserted in lowering the taxㅡ it helps people to spend more of their earnings. Reclining the party's sense of value means much more than loosing ones' self esteem. Rather, infringing the tradition leads to agitating legitmacy of the whole party.
The ruling party is the Democratic Party, albeit they are immensely strained by the upcoming talk about fiscal cliff. If anything, GOP is the one which has the lead in this talk. Since Obama was reelected based on his economic improvement after the Sub-prime Mortgage; Republicans know another recession is inadmissible by American citizens. Thus, Obama government must quid pro quo until Republicans compromise with the Democrats.
In my point of view, it is irresponsible for the Republicans to risk the fiscal cliff talk even when the whole economy is at stake. Maybe since I'm a student, I don't understand politics well enough. Still, Republicans should perceive that their absurd demeanor will provoke more animosity toward elites. Republicans must at least give a plausible reason for their conduct; or readily make a negotiation with the Democratcs to obstruct rear blasts from the fiscal cliff.
'습작생성소 > ENGLISH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LTS 25 (0) | 2012.12.31 |
---|---|
기사가 너무 좋아 공유해봅니다!! (0) | 2012.12.04 |
IELTS 17번 (0) | 2012.11.20 |
IELTS Num.18 (0) | 2012.10.25 |
(IELTS Num1.) Essay By Sung Ho Moon (0) | 2012.10.12 |